본문 바로가기
JavaScript

JavaScript 기초(8)_자료형

by DeBanker.K 2021. 9. 29.

1. 자료형(Data type)

(1) 동적 타이핑 : 타입이 정해져있지 않는 것을 말한다. = 입력 값에 따라서 타입이 변화한다.

let은 대입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타입이 변화함을 알 수 있다

(2) 변수가 가지는 고정 타입이 없다. 하지만 타입이 없는 것은 아니다.

 

2. 기본 타입(Primitive values) 6가지

 : Boolean / Null / Undifined / Number / String / Symbol

 

  (1) Boolean

Boolean 타입의 예시 
a의 경우 'new'선언으로 변수 타입이 객체이며 if문에서 작동하였다. 반면 b는 불리언형 타입으로 초기값 false이므로 if문 작동 하지 않았다.

(2) Null & Undefined

Null과 Undefined의 타입을 보여준다.
a(Null)와 b(Undefined)의 값은 같으나 유형이 다름을 알 수 있다. 

*'=='는 두 변수의 [값]을 비교하며, '==='는 두변수의 [값, 자료형] 모두를 비교한다.

 

(3) Number 

Number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준다.

*NaN(Not-a-Number)은 말그대로 숫자가 아님을 뜻한다. 그러나 타입형은 number로 잡힘을 알 수 있지만 

최대한 NaN 형태를 피하도록 코딩하는 것이 좋다.

 

(4) String

string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들이다.

*백틱(₩)안에 자바스크립트 표현식을 넣어서 활용할 수 있다.

 

(5) Symbol

Symbol를 표현한 여러가지 경우! 중요한건 c와d는 다르다는 것이다.

: Symbol은 값에 고유성을 부여하는 것이다.

위의 예문에 변수 c, d값을 같은 것으로 대입해도 아래에 false 결과값이 출력되는 것으로 보아

두 값이 각각 다른 고유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