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37

JavaScript 기초(7)_var의 호이스팅 1. var의 Hoisting(호이스팅) (1) 아래 있는 선언을(만) 끌어올리다. (2) 호이스팅 원리 들여다보자. ㄱ. 마지막 name에다가 'Park' 문자를 대입하면 어떻게 될까? ㄴ. 즉 'Park'는 끌어올리지는 않고 'var name'만 끌어올렸다는 것을 의미한다. ㄷ. 호이스팅은 위와 같이 값을 대입해도 값은 끌어올리지 않고 선언만을 끌어올리는 것이다. (3) let은 어떨까? let은 초기값이 먼저 선언되어야만 유효한 것을 알 수 있다. *즉 var의 호이스팅 문제로 요즘은 var보다는 let으로 변수를 사용한다. 2021. 9. 28.
JavaScript 기초(6)_변수의 유효 범위 1. Scope of variables(변수의 유효 범위) (1) const, let의 유효 범위 : 블록 스코프 => {} ㄱ. {} 밖에서 선언된 변수에 대해서는 {} 안까지 인식한다. ㄴ. 중첩된 {}에 대해서도 밖에서 안으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. (2) var의 유효 범위 : 함수 스코프 => function() {} ㄱ. 함수의 밖에서 안으로는 인식하나 함수 안에서 바깥으로는 인식 못한다. ㄴ. {} 블록에는 안과 밖 상관없이 모두 인식한다. (const, let과는 다름!) 2021. 9. 27.
JavaScript 기초(5)_변수/상수 1. Variable(변수) (1) 변할 수 있는 수를 일컫는다. (2) 프로그램이 실행 될 때, 프로그램의 어떤 값들을 메모리에 잠시 보관했다가 사용하는 경우 보관소 역할을 한다.(변수,상수 공통) (3) let 로 변수를 표현한다. 2. Constant(상수) (1) 항상 같은 수를 말한다. (2) const 로 상수를 표현한다. *변수와 상수를 쓴 예제문 2021. 9. 26.
JavaScript 기초(4) _주석 1. Comments (주석) (1) 소스 코드에서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고, 무시되는 부분이다. (2) 보통은 소스코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로 사용한다. (3) 여러 줄 주석은 '/* */'를 사용한다. 2021. 9. 25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