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바스크립트31 JavaScript기초(11)_조건문(3) 1. 논리 연산자를 이용한 조건문 평가 ( && / || / ! ) (1) && : And 연산자 (2) || : Or 연산자 ('버티컬 바'라고 읽는다.) (3) ! : Not 연산자 2. 논리 연산자를 이용한 조건문 실행 (1) && : And 연산자 : 둘 다 참 일 때만 참이다. : 표현식은 앞에 먼저 평가하고, 뒤에를 평가한다. : 앞 표현식을 평가해서 참 일 때만, 뒤 표현식을 평가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뒤의 표현식이 실행된다. (2) || : Or 연산자 ('버티컬 바'라고 읽는다.) : 둘 중에 하나만 참이면 참이다. : 앞 표현식을 평가해서 참 이면, 뒤 표현식을 평가할 필요가 없어서 실행하지 않는다. : 앞 표현식을 평가해서 거짓일 때만, 뒤 표현식을 평가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표현.. 2021. 10. 4. JavaScript 기초(10)_조건문(2) 1. else if : if에 해당하지 않을 때 15는 5의 배수이기도 하기 때문에 위의 조건문은 정확한 결과값이 도출되지 않으니 코드를 조금 더 세밀하게 보완해보자. 다음과 같이 변수를 추가 선언하여 좀 더 보기 좋게 표현할 수 있다. 2021. 10. 3. JavaScript 기초(9)_조건문(1) 1. 조건문(Conditional Statements) : 표현식이 참으로 평가될 때, 실행되는 블록 (1) 표현식이 거짓으로 평가될 때 : false / 0 / '' / null / undefined / NaN (2) 표현식이 참으로 평가될 때 : (1)의 반대 모두 ex) true / 37 / 'Kim' / {} / [] 등등 (3) else {} : if에 해당되지 않을 때 2021. 10. 1. JavaScript 기초(8)_자료형 1. 자료형(Data type) (1) 동적 타이핑 : 타입이 정해져있지 않는 것을 말한다. = 입력 값에 따라서 타입이 변화한다. (2) 변수가 가지는 고정 타입이 없다. 하지만 타입이 없는 것은 아니다. 2. 기본 타입(Primitive values) 6가지 : Boolean / Null / Undifined / Number / String / Symbol (1) Boolean (2) Null & Undefined *'=='는 두 변수의 [값]을 비교하며, '==='는 두변수의 [값, 자료형] 모두를 비교한다. (3) Number *NaN(Not-a-Number)은 말그대로 숫자가 아님을 뜻한다. 그러나 타입형은 number로 잡힘을 알 수 있지만 최대한 NaN 형태를 피하도록 코딩하는 것이 좋다. .. 2021. 9. 29. 이전 1 ··· 3 4 5 6 7 8 다음